ESXi 는 운영체제(OS:Operating System)의 이름이야. MS Windows 니, Apple의 macOS 니 하는 것처럼 VMware 회사가 만든 제품이지.
가상화 OS 라고 하는데, 이 OS 를 설치하면 그 안에 Windows, macOS, Linux 등등의 OS 를 설치해서 여러 대의 가상(Virtual) 컴퓨터를 가질 수 있게 되지.
즉, 가상 OS 를 관리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OS 야.
지금부터 ESXi 를 설치하는 과정을 진행해볼거야.
우선 ProLiant MicroServer Gen8 서버에 설치할 수 있는 가상화 OS 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해.
이 서버를 사자마자 설치했었던건 VMware ESXi 인데, 버전이 6.0 이었지.
그래서 버전업된 ESXi 가 있는지 조사해봤지. 그러다가 Proxmox 라는 또다른 가상화 OS 가 있는 걸 알게 되었는데, 다음에 알아보기로 하고 그냥 ESXi 를 조사해봤어.
HPE ProLiant MicroServer Gen8 에는 커스터마이징된 ESXi 를 설치해야 한다고 알고 있었어.
HP 사이트에서 ESXi 를 찾아봤지. 내가 찾은 URL 은 https://www.hpe.com/kr/ko/servers/hpe-esxi.html 야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5-1024x831.png)
아래쪽으로 스크롤해보면 커스터마이징된 ESXi Image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지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6-1024x748.png)
예전에 어디선가 들었는데, Gen8 에 설치 가능한 버전은 6.5 가 마지막이라더군.
그래서 ESXi 6.5 U3 (Update 3) 항목을 확장해봤어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7-1024x748.png)
보는것처럼 Gen9 이전 제품에 대한 마지막 버전이래.
혹시나해서 ESXi 6.7 U3 를 확장해봤어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8-1024x748.png)
ESXi 6.7은 Gen9 부터 지원한다는군. 버전이 높으면 더 좋을테지만, 시도했다가 설치 안되거나, 설치는 되었는데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면 낭패일테니, 그냥 마음 비우고 ESXi 6.5 U3 를 선택하였지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9-1024x748.png)
이 화면에서 아래쪽으로 스크롤해보면 Gen9 이전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이미지 목록이 나와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10-1024x748.png)
이중에서 Install CD 버전 (iso 형식) 의 이미지를 다운로드받았지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11-1024x748.png)
보다시피 파일 이름은 VMware-ESXi-6.5.0-Update3-14990892-HPE-preGen9-650.U3.9.6.10.1-Dec2019.iso 이야.
iso 파일형식은 CD 를 이미지화해서 파일로 만든건데, MicroServer 에 설치하려면 부팅 USB 형식으로 iso 파일을 만들어줘야 하지.
iso 파일을 부팅 USB 로 제작하는 프로그램으로는 rufus 가 가장 유명하다고 알고 있어. 지금 현재 4.4 버전이 최신 버전이네(https://rufus.ie/ko/)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12-1024x748.png)
이 글에서 rufus 사용법을 설명하진 않을거니 인터넷에서 사용법을 찾아보면 쉽게 구할 수 있을거야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13.png)
어쨌거나 iso 이미지를 부팅 USB 로 제작해서 네임펜으로 정성스럽게 이름을 써줬어. 나중에 또 써먹을 일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…
이 USB 를 ProLiant MicroServer USB 포트에 꽂아주고 전원을 올리면 ESXi 설치작업이 시작되지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G_1346.jpeg)
설치하는 과정에서는 별로 어려움이 없을거야(그래서 스크린샷도 준비하지 않았어).
설치가 완료되고 ESXi 가 부팅된 모습은 이래. 네트워크 설정을 하기 전이기 때문에 DHCP 서버에 의해서 IP 를 할당받은 결과야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31.png)
설치가 모두 완료되고 나면 네트워크를 설정해 주어야 하는데 메인 화면에서 F2 키를 눌러주면 관리자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을 해야해. 관리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ESXi 설치 과정에서 설정했었을거야. 아마 이 스크린샷을 어떻게 찍은거냐고 궁금해할 사람이 있을텐데 iLO 를 사용하면 장치의 화면을 원격으로 표시할 수가 있어. iLO 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하게 설명할께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15.png)
네트워크를 설정하려면 Configure Management Network 메뉴를 선택하고 <Enter>를 누르면 돼.
네트워크 설정 화면에서는 네트워크 어댑터, IPv4 설정, IPv6 설정, DNS 설정 등이 가능하지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32.png)
아래 화면은 Network Adapters 메뉴를 선택한 결과야. MicroServer 에 장착되어 있는 물리 네트워크 어댑터 목록이 보여지고 있어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17.png)
ProLiant MicroServer Gen8 에는 물리 네트워크 카드가 2개 장착되어 있다고 했지? (iLO 용 네트워크 카드 제외하고 말이야). 그 2개의 네트워크 카드가 각각 vmnic0, vmnic1 로 표시되고 있는거야.
이 화면에서는 관리용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화면이기 때문에 2개 중 1개만 선택해서 IP 주소를 할당해주는 작업을 하면돼.
vmnic0 이라는 이름의 네트워크 카드를 관리용 네트워크로 사용할 계획인데, 커서로 선택된 상태에서 <Space> 를 누르면 (X) 가 토글돼. 커서가 선택된 상태에서 <D>를 누르면 해당 네트워크 카드의 상세정보 화면이 표시되지. … 으로 줄여서 표시되던 MAC Address 의 전체 값을 확인할 수 있어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33.png)
이번엔 IPv4 Configuration 메뉴를 선택해서 ESXi host 의 IP 주소를 설정해볼까? ESXi host 는 VM 에 대한 관리를 목적으로 접속하게 되는 일이 잦기 때문에 DHCP 로 ESXi 가 부팅될 때마다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받는 것보다는 고유한 주소를 할당하는게 좋겠어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18.png)
나는 MicroServer 의 관리용 IP 주소를 192.168.219.200 으로 할당했고, Subnet Mask, Default Gateway 는 나의 네트워크 환경에 맞추어 각각 255.255.255.0, 192.168.219.1 로 입력했어. <Enter>를 누르면 입력한 값이 저장되고 설정한 값이 적용되지.
만약 IPv6 을 사용하지 않을거라면 IPv6 Configuration 메뉴화면으로 들어가서 Disable 시켜도 좋아.
이어서 DNS Configuration 메뉴를 눌러서 DNS 주소값을 설정해보자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34.png)
Obtain DNS server addresses and a hostname automatically 에 체크되어 있다면 공유기에 설정되어 있는 DNS 서버 주소값(나의 경우에는 1.214.68.2, 61.41.153.2)이 자동으로 사용되지. DNS 주소값이나 Hostname 변경이 필요하다면 Use the following DNS server addresses and hostname 을 체크하고 그 값을 직접 입력해주면 돼. <Enter>를 눌러서 설정 작업을 마무리하면 돼.
여기까지 수정하고나면 변경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서 네트워크를 재시작하게 되지. 경우에 따라서는 ESXi host 가 재시작될 수도 있어. 변경 내용이 적용되고나면 이제 웹브라우저에 관리용 IP 주소를 입력해서 ESXi 관리 콘솔 화면으로 접속이 가능해져.
웹브라우저에 관리용 IP 주소를 입력해서 VMWare ESXi 로그인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해보자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19-1024x822.png)
관리자아이디,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하면 관리 콘솔 화면이 표시되지(이미 여러 가상시스템을 설치한 상태에서 스크린샷을 잡은거라서 CPU 사용량, 메모리 사용량이 좀 많은 모습이야. 그냥 무시해~).
![](https://blog.woohahaapps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image-20-1024x737.png)
이제 ESXi 에 가상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살펴볼까?